본문 바로가기
딥러닝

ai에 대하여

by jennyiscoding 2024. 12. 12.

3월 모평 6월 모평 9월 모평 점수가 60 89 90이면 대충 이었을 때 

y=wx+b 라는 일차함수가 만들어진다. 

여기서 w는 가중치라고 부르고 b는 편차라고 부른다. 

대충 그었을 때 어떤 기울기가 가장 가깝다는 어떻게 찾을까?

일차함수의 선에서 모평 점수와의 거리가 얼마나 되는지 그래프를 그어보면 2차 함수가 나온다. 

 

그중 가장 가까운 기울기는 편차-기울기 그래프의 기울기가 0일때를 가르킨다.

 

config는 model의 껍데기이다. 

인퍼런스를 위해 계산해 놓은 pth, pt라는 가중치는 체크포인트라고 부른다. 

무수히 많은 w와 b가 저장 되어있다. 

 

data_root = 'data/kinetics600/videos_train' # 훈련 데이터_데이터 경로
data_root_val = 'data/kinetics600/videos_val' # 검증 데이터_데이터 경로

--> 여기에는 class별로 zip파일이 있고 예를들어 러닝, 자전거타기,,... 별로 있고 그 zip파일 안에는 액션의 동영상이 들어있다.

annotation에는 동영상 path와 해당 영상에 대한 action이 들어가 있다. 

 

전처리는 test pipline이며 

test_pipeline = [
	dict(type='DecordInit', **file_client_args),
	dict(
		type='UniformSample', clip_len=num_frames, num_clips=4,
		test_mode=True),
	dict(type='DecordDecode'),
	dict(type='Resize', scale=(-1, 224)),
	dict(type='ThreeCrop', crop_size=224),
	dict(type='FormatShape', input_format='NCTHW'),
	dict(type='PackActionInputs')
]

 

이미지가 아닌 데이터는 0~1사이 수로 정규화만 하면 되고 

이미지라면, resize, 벡터로 바꾸기, pytorch기반의 numpy array라면 tensor로 바꿔주어야 한다. 

 

용어

batch_size: 한 번에 몇개의 방정식을 동시에 풀것이냐

num_worker: 병렬처리 할것이냐 말것이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