개념 :
예외처리
try{
예외가 발생할 수 있는 문장을 작성
} catch(e){
예외가 발생했을 경우 발생할 문장을 수행해줌.
} finally{
예외 발생 여부에 상관없이 수행할 문장
}
코드 :
const fs = require("fs");
let text = null;
try{
text = fs.readFileSync("./text4.txt",'utf-8');
}catch(e){
console.log(e)
console.log('동기식으로 파일 읽기 실패!');
}finally{
console.log('예외발생 여부에 상관없이 수행');
}
catch부분에 매개변수로 e를 넣으면 에러를 출력해준다.
'Nod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ejs에 대해 알아보기 (0) | 2022.07.03 |
---|---|
미들웨어에 대해 알아보기 (0) | 2022.07.03 |
이미지나 음악파일을 보여지게하기(fs.readFile) (0) | 2022.07.03 |
fs모듈 사용해 동기식/비동기식으로 txt파일 읽기, 쓰기(readFile, readFileSync,writeFile,writeFileSync) (0) | 2022.07.03 |
node의 개념, node설치하기, package.json만들기 (0) | 2022.07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