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Node

node의 개념, node설치하기, package.json만들기

by jennyiscoding 2022. 7. 3.

개념을 알아보자. 

   - 노드 : 서버(컴퓨터 운영체제)에서 실행되는 자바스크립트를 뜻한다(즉, 자바스크립트는 브라우저에서 작동되는 반면, 노드를 설치하면 자바스크립트도 운영체제에서 실행이 되고 사용할수있다)

    - 노드의 장점 : 백앤드랑 프론트앤드가 같은 언어를 사용한다. 

    - 사용되는 엔진 : Chrome V8 Javascript 엔진 

    - 아파치같은 웹서버(apache, iis, zeus...) 소프트웨어가 필요없고 웹서버 역할을 할 수 있는 내장 라이브러리가 존재한다 

    - npm이라는 패키지 관리자(라이브러리를 다운받아 탑재시키는 역할)가 포함되어있다.

   

설치를 해보자. 

    *설치확인하기 
    cmd에서 node -v 명령어를 실행 

    *설치하기 
    https://nodejs.org/en/ > Download for Windows (x64) 중 LTS버전(안정화된 버전) 설치 > 설치파일 실행
    next > 동의 > next 무한정.. > install 

 

    *설치된 버전 확인하기
    npm -v : npm버전 확인

 

    *노드 cmd키는방법
    노드라는 프레임워크 위에서 얘를 돌려야해. 
    Ctrl + 물결무늬(~)를 누르면 Visual studio에 터미널이 열림. 
    

    *서버 실행하기 

day01폴더에 1_nodejs.js파일을 만들고 아래내용을 적음. 

console.log("node.js의 시작!");

    1. cd day01쳐서 하위폴더로 이동함. 
    2. node 1_nodejs.js치면 node.js의 시작! 이라고 콘솔에 나옴. 

 

    *package.json이란?
    package.json : 노드를 이용해서 실행을 할 때 참고하는 json파일.
    key value구조이다. 

 

    *package.json만드는법
    npm init를 이용해서 만든다. 
    npm init을 cmd창에 쓰고 엔터. 
    cmd창에 package name : (day01)이 나오는데, 엔터치면 패키지 이름 day01로 만들어줄께~ 라는의미. 
    엔터친다. > version 1.0.0 나온다. 엔터 > description은 패키지에 대한 설명 치는거. 
    안써도됨. 엔터 > entry point는 패키지를 실행했을 때 처음 실행하는거. 
    is this OK까지 모두 엔터! yes 혹은 엔터 치면 해당 폴더에 
    package.json이 생겨져있다. 
    나중에 여기에 추가할수도 있음! 

    npm init : 옵션을 직접 제공해서 생성. (enter로 문답 생성, 
    괄호 안은 기본값) 쓰기가 너무 귀찮을 때는
    npm init -y를 치면 모두 yes로 자동들어가서 생성해줌. 

    아래 내용이 들어가 있음을 알수있음.

{
  "name": "day01",
  "version": "1.0.0",
  "description": "",
  "main": "",
  "scripts": {
    "test": "echo \"Error: no test specified\" && exit 1",
    "start": "nodemon"
  },
  "author": "",
  "license": "ISC"
}