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PM : Node Package Manage
1. package.json파일의 생성 방법 : npm init
프로젝트 관련 정보들이 저장되는 파일이다.
npm을 사용하면 의존성을 쉽게 관리할 수 있다.
2. 의존성 추가, 내려받기 방법 : npm install
2.1 개발용 dependency로 내려받는 방법 : npm install [package이름] --save-dev
3. 특정버전 설치하는 방법
npm install [package-name] @ [version] 으로 설치한다
~1.13.0 - 1.13.x 버전 설치
^1.13.0 - 1.x.x버전 설치. 가장 왼쪽의 0이 아닌 버전을 고정한다
0.13.0 - 0.13.0버전만 설치한다
4. 패캐지를 전역패키지 디렉터리에 내려받는 방법
npm install [package-name] --global
이렇게 선언하면 package.json에 선언하지 않아도 사용할수가 있다. 하지만 선언을 하고나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.
5. 의존성 패키지를 삭제하는 방법
npm remove [package-name]
디펜던시와 노드모듈스에서 삭제가 된다.
npm에서 스크립트란 간단한 동작을 수행하는 코드이다.
6. 선언된 script부분을 실행하는 방법
npm run ~ 으로 사용한다.
출처 : 앨리스
7. 그외 주요 스크립트를 알아보자.
npm test : 유닛테스트 등에 사용된다
npm start : 프로젝트 실행
npm stop : 프로젝트 종료
8. 실습
예를 들어 npm install dayjs로 다운을 받는다고 하면,
ls node_modules로 확인해보면 day.js가 존재하는 것을 알수 있다.
그리고 자동적으로 package-lock.json파일이 추가가 되는데 확인을 해보면 안에 dayjs가 있음을 알수있다.
다음으로 cowsay 패키지를 다운받는다고 치면,
npm i cowsay 로 다운받고 node_modules디렉터리를 보면 카우세이뿐만 아니라 다양한 패키지들이 설치되어있는 것을 볼수있다. 그것들은 cowsay패키지가 사용하는 다양한 패키지들이다. 어떤버전을 사용하는지 보려면, package-lock.json파일을 확인하면 볼 수 있다.
'Nod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nginx사용하기 (1) | 2023.01.28 |
---|---|
토큰이 있어야 하는 라우터의 경우 postman에서 테스트하는 방법 (0) | 2022.10.31 |
dotenv 설치 및 사용하기 (0) | 2022.10.27 |
OSI 7계층의 Application Layer (0) | 2022.10.27 |
http모듈 개념 & 3000서버 만들어보기 (0) | 2022.10.22 |